해양심층수를 동해(고성)에서 개발하는 이유
- 우리나라 연안역의 특징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해안선의 총 연장선은 17,200KM로 세계 주요나라에 비해 상당히 크다.
- 서해의 평균수심은 44M이며 최고수심 103M로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갯벌이 많으며, 남해안의 수온은 여름철에는 30℃이상으로 겨울철에도 10℃이하로 내려가는 적이 거의 없으며, 평균수심은 100M 내외이다. 그에 비하여 동해는 해저지형이 급경사로 4,000M급의 심해로 이어지며, 또한 평균수심은 1,530M로 수온은 1℃ 내외의 염분농도를 34PSU의 동해 고유수가 있다.
- 이러한 특징적 이유로 해양심층수의 취수관련 시설이 동해안 지자체와 민간기업에 의해서 개발 중에 있다.
동해(고성)심층수의 가치
동해에 부존하고 있는 해양심층수, 동해(고성)심층수는 그 양이 막대하며, 순환 재생되는 무한자원으로써 그 부가가치가 매우 큰 해양자원이다. 해양심층수 1㎥은 물, 소금, 용존물질, 에너지 등으로 다음과 같은 가치를 지닌다.
고성(동해) 해양심층수의 특성
- 해양심층수의 시범개발 대상자원의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고, 외국의 자원특성과 비교함으로써 효율적인 이용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기위한 목적으로 해양심층수의 자원특성에 대한 분석 및 동해와 태평양계 해양심층수의 특성 비교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.
- 그 결과, 동해심층수의 부영양성을 확인하였고, 수질특성은 외국과 유사하였으며, 수온은 태평양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. 이는 동해심층수의 활용방안을 정립하고 전개하는 데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, 우리나라 고유의 상품화 촉진의 기초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.
-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하여 고성(동해) 해양심층수를 개발할 때, 고성(동해)심층수 관련상품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관련산업의 발전 및 확산이라는 사회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, 고성(동해)심층수의 수질에 대한 과학적 인증, 자원 안정성 분석절차 정립, 공익적/산업적 활용기반 확도 등의 과학기술적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.
태평양계 해양심층수 특성 비교
태평양계 해양심층수 특성 비교 안내 – 구분, 일본 고치현 심층수, 일본 고치현 표층수, 미국 하와이 심층수, 미국 하와이 표층수, 한국 동해안적지 심층수, 한국 동해안적지 표층수 정보 제공
구분 |
일본고치현 |
미국하와이 |
한국동해안적지 |
심층수 |
표층수 |
심층수 |
표층수 |
심층수 |
표층수 |
수온 |
8.1~9.8 |
16.1~24.9oC |
8.2~10.7 |
24.3~28.0oC |
1.52~1.9 |
14.5~23.10oC |
수온이온 농도 |
7.8~7.9 |
8.1~8.3 |
7.45~7.64 |
8.05~8.35 |
7.19~7.90 |
8.16~8.20 |
염분 |
34.3~34.4 |
33.7~34.8o/oo |
34.37~34.29 |
0034.33~35.05o/oo |
33.72~33.94 |
32.5~33.0o/oo |
용존산소 |
4.1~4.8 |
6.4~9.5mg/l |
1.24~1.45 |
6.87~7.28mg/l |
9.13~9.47 |
7.79~8.9mg/l |
질 산 염 |
12.1~26.0 |
0.0~5.4μM |
39.03~40.86 |
0.24~0.42μM |
3.6~13.3 |
0.1~1.4μM |
인 산 염 |
1.1~2.0 |
0.0~0.5μM |
2.89~3.15 |
0.15~0.19μM |
1.7~4.3 |
ND~0.7μM |
규 산 염 |
33.9~56.8 |
1.6~10.1μM |
74.56~79.20 |
2.64~3.59μM |
72.1~108.0 |
15.3~28.9μM |
클로필 a |
- |
- |
0.034~0.0376 |
0.1578~0.1589mg/l |
비고 |
취수수심 320m |
취수수심 600m |
취수수심 200m |
동해 해양심층수 특성 비교
연직혼합층의 월별 변동성
강원도 고성 해역의 수온약층을 포함한 연직혼합층은 여름철 100M, 겨울철에 150M이상까지 나타나며, 난류성 와류(EDDY)가 생성되었을 경우 (2003년 7월)에는 200M 이상까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.
메뉴담당자
담당부서 : 투자유치과 해양심층수팀
연락처 : 033-680-3847
최종수정일 : 2018-12-12